위축성 위염이란위축성 위염은 다른 위염과 다릅니다. 위축성 위염은 위의 점막이 손상되어 위벽이 얇아지고 염증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위축성 위염은 위점막의 염증으로, 주로 위산의 과다분비로 인해 발생합니다. 위장의 점막이 얇아져서 위축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위축성 위염은 만성적인 염증 상태로, 급성 위염보다는 점진적으로 발생하며 장기적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내시경으로 들여다보면 점막 아래에 있는 혈관들이 필요이상으로 잘 보이게 됩니다. 장기적인 위산의 자극으로 인해 위 점막이 손상되고 염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급성 위염과 달리 증상이 점진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위는 위 샘에서 위산이나 소화효소 그리고 위 점액 같은 위액을 성인기준으로 하루 1~1.5리터 정도 분비를 ..
장마철에 하는 체질별 컨디션 관리장마철이라 꿉꿉하고 눅눅한데 이맘때 유독 무릎이 아프거나 관절이 잘 붓는 분들이 있습니다. 몸이 유난히 무겁거나 찌뿌둥하고 기분도 축 처지고 우울증 불면증이 심해질 수도 있는데 이렇게 전반적인 컨디션이 떨어지게 되면 면역력도 떨어지고 장염이나 대상포진 같은 염증도 잘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병이 생기기 전에 우리가 컨디션 관리를 잘하는 게 중요합니다. 우리 몸은 보이지는 않지만 날씨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그렇지만 항상 일정한 체내 온도 또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오장육부를 가동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날씨가 더우면 체온이 너무 올라가지 않도록 몸속에서 자동 에어컨이 돌아가면서 땀으로 열을 배출하고 날씨가 습하면 몸속에 있는 제습 기능이 ..
치커리의 종류와 치커리 커피의 유래입에 단 음식은 몸에 쓰고 입에 쓴 음식은 몸에 달다는 말이 있습니다. 바로 치커리를 두고 하는 말이 아닌가 싶습니다. 치커리는 쌉싸름한 맛이 나는 채소입니다. 치커리 하면 생각나는 이 치커리 외에 사실 종류가 많습니다. 단맛이 나는 슈거 로프라는 것도 있고요, 트래비스, 라디치오, 로사, 이탈리아가, 치콘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색깔과 모양이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쌉싸름한 맛을 가지고 있어서 입맛을 돋우는 채소로 샐러드, 쌈 채소 그리고 비빔밥 재료 등으로 쓰여왔습니다. 치커리는 유럽에서는 굉장히 역사가 있는 채소입니다. 블루보틀이라는 커피 브랜드는 세계적으로 인기가 굉장히 높은데 우리나라에서 처음 매장이 생겼을 때 이 커피를 마시기 위해서 줄을 서서 ..
치매를 유발하는 원인치매 뇌를 보면 건강한 뇌와 눈에 띄게 다른 점이 크게 2가지입니다. 뇌의 전체적인 볼륨이 줄어들면서 뇌의 외부 표면, 대뇌표면 피질이 위축되고 대뇌피질은 우리가 생각하고 판단하는 지적 능력을 담당하는 곳입니다. 또 다른 두드러진 변화는 뇌신경의 아밀로이드플라크가 축적되고 뇌의 신경원 섬유의 엉킴 현상이 나타납니다. 치매가 생기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우리가 매일 먹는 식품 중에서도 치매뇌를 촉발하는 것이 있어서 그 부분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고지방식이나 설탕 과잉섭취 같은 것들도 치매의 위험성을 높이지만 가장 주의해야 할 음식은 당 독소가 많은 음식입니다. 이름이 당독소니까 그냥 설탕이나 오렌지주스 같은 단것 아닌가 하실 수 있는데 설탕이나 오렌지 주스 자체는 포도당이나 ..
은행의 특징열매가 땅에 떨어지면서 썩어서 아주 고약한 악취가 나는 열매가 있는데요 바로 은행나무입니다. 가로수로도 많이 심어져 있기 때문에 길을 걷다가 어디선가 냄새가 나기 시작하면 아 은행이 구 나하고 다들 경험하셔서 아실 텐데요. 은행은 식용으로 백숙에 넣어서 먹기도 하고 간식으로 또는 술안주로 은행꼬치 구워서 먹으면 쫀득한 게 별미입니다. 그러나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은행이 아무리 맛있고 몸에 좋은 성분이 있어도 무작정 함부로 먹어서는 안 됩니다. 그래서 은행의 효능과 주의해야 할 부작용들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은행은 은빛은 살구행자를 써서 은빛 살구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열매처럼 보이지만 열매는 아니고 씨앗의 일부분이 변형된 종자입니다. 영어로도 Ginkgo see..
블루존 장수촌 사람들지구촌에서 가장 오래 건강하게 사는 사람들이 거주하는 지역을 블루존이라고 부릅니다. 이탈리아의 통계의학자인 잔니 페스 박사가 최대 장수 지수가 높은 지역을 파란색 잉크로 동그라미를 쳐 놓은 것에 의해서 블루존이라는 용어가 유래했다고 합니다. 일본의 오키나와, 그리스의 이카리아, 이탈리사의 사르데냐, 미국의 로마린다, 코스타리카의 니코야가 대표적인 5개의 블루존입니다. 2005년부터 2019년까지 14년 동안 덴뷰티너라는 기자가 장수촌 곳곳을 다니면서 장수촌 사람들의 생활 방식과 식습관을 조사하게 됩니다. 가장 오래 그리고 건강하게 오래 사는 평범한 비밀을 알게 됩니다. 바로 장수하는 사람들의 식탁에는 늘 콩이 오른다는 것이었습니다. 콩도 검은콩, 대두,콩 완두콩, 강낭콩, 종류가 많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