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의 역할좋은 옷에는 안감이 있는 것처럼 우리 몸속 미세혈관에도 내강을 감싸고 있는 내피가 있습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이 내피가 그냥 혈관을 보호하는 역할 정도만 한다고 생각했는데요 과학이 발전하면서 그게 아니라 우리 몸속에서 엄청나게 큰 내분비기관이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췌장에서 인슐린을 분비하는 것처럼 혈관 내피에서도 생리활성에 아주 중요한 물질들을 분비한다는 것입니다. 혈관이 내피는 혈관 기능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이 혈관의 수축과 팽창을 조절한다는 것입니다. 신체의 다양한 조직으로 혈액이 공급될 때 상황에 맞게 혈관이 수축과 팽창해서 혈액이 들어가는 양을 순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로서 심장에는 어느 정도의 혈압으로 일을 해야 하는지 피드백을 주..
수분의 중요성우리 몸속의 노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에 하나가 몸속이 체내수분량입니다. 영유아 때는 80% 정도, 성인은 70%, 노년기에는 60% 정도로 감소한다고 합니다. 수분이 부족해지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근육의 사이즈가 줄어드는 눈에 보이는 변화들이 생기는데 사실 더 큰 문제는 눈에 보이지 않는 변화에 있습니다. 몸 안의 혈액에서 탈수가 되면 혈액의 점도가 올라가고 이로 인해 혈액순환 장애 혈전등이 생길 수 있는데 가장 큰 문제는 뇌 혈류에 나쁜 영향을 주어서 독성 단백질의 축적과 기억력 감퇴로 이어진다는 것입니다. 우리 몸속의 물이 뇌 건강에 얼마나 중요하냐면 알츠하이머 치매와 혈관성 치매 발생 모두 탈수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고 특히 젊은 연령대의 치매 환자분들은 건강한 사람들에 비해서 뇌..
좋은 도라지 고르는 방법코로나 이후로 감기나 독감에 대한 걱정이 많아졌습니다. 기침 가래 호흡기 염증을 잡고 감기와 독감 예방에 좋은 가을보약이라고 하는 도라지로 온 가족이 먹을 수 있는 가정상비약이 있습니다. 기침 가래에 도움이 되려면 나물로 볶아먹는 일반 도라지가 아니라 약성이 아주 좋은 약도라지가 필요합니다. 어떤 도라지를 구입해야 될까요. 땅에서 금방 캔 도라지가 아니라 적어도 땅에서 3년 이상 길러낸 약도라지가 좋습니다. 그리고 비료를 많이 먹은 통통한 재배 도라지가 아니고 굵기는 다소 가늘고 잔뿌리가 많더라도 산도라지가 좋고 껍질을 깐 도라지는 갈변작용을 막기 위해서 이산화항이나 아황산나트륨 같은 약품 처리를 한 경우가 많습니다. 호흡기가 약한 분들은 소량으로도 기침 천식을 유발할 수 있어서 ..
두뇌 피로에 좋은 달걀과 낫또주변에 머리를 많이 쓰면서 고생하시는 분들이나 수험생들분들, 어려운 시험을 준비하면서 두뇌에 피로도가 많이 쌓이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직장인, 건망증이 심해지는 분들에게 어떤 음식을 먹으면 도움이 될까요? 매일 먹으면 뇌신경을 튼튼하게 하는 음식이 있다고 해서 찾아봤습니다. 뇌를 총명하게 하는 총명탕이나 각종 영양제들도 많이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으로 기반을 잘 잡아줘야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 소개하는 음식을 한 접시에 담아서 간단한 한 끼 식사로 먹으면서 뇌의 피로를 푸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두뇌의 피로를 푸는 음식들이있습니다. 이 음식을 담은 브레인 접시에 가장 메인으로 담겨야 되는 음식은 바로 달걀입니다. 가격대비 뇌에 필요한 영양소..
중년건강에 필요한 기지개 켜기아침의 첫 단추를 잘 끼우면 그날의 바이오 리듬을 좋게 하고 그러한 매일매일이 쌓이면 삶이 달라지고 또 운이 바뀌게 된다고 합니다. 그만큼 아침을 잘 맞이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는데요, 중년에 들어서서 특히 아침에 하면 보약만큼 좋은 것들이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아침에 일어나는 것이 점점 힘들고 축 쳐져 있다가 커피 드시는 분들 많으신데요. 그렇게 아침을 맞이하지 말고 몸에 보약이 되는 것처럼 도움이 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강아지나 고양이들도 움직이기 전에 기지개를 켜는데 이 기지개를 켜는 게 근육을 깨우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50세 이후 중년부터는 아무래도 근육의 유연성이 떨어지게 되는데 밤새 또 근육을 안 쓰다 보니 근육이 더 짧아지고 타이트해집니다. 기지개..
단맛이 나는 음식달달한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특히 요즘에는 더욱 단음식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식사를 한 후에 단것들이 당기거나 입이 심심할 때 또 단것을 먹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나는 단것 안 좋아하는데 하시는 분들 계시면 밥이나 면을 아주 오래 씹어보시면 끝맛이 아주 답니다. 정말 하얀 쌀밥은 계속 씹을수록 단맛이 올라오는 게 정말 밥이 달구나 하는 말이 나오게 됩니다. 탄수화물에 중독되는 사람들은 알게 모르게 이 탄수화물에 깔린 닷맛 때문인데요, 떡볶이 같은 것은 겉으로는 매운맛음식이지만 부드러운 매운맛을 내기 위해서 설탕 같은 단맛이 엄청 들어가 줘야 하고 그리고 짜장면 같은 경우는 대표적인 단짠 음식입니다. 정말 짜고 달고 너무 맛있지 않나요? 이렇게 우리 주변에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