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열대야의 원인

    열대야는 밤 동안 기온이 25도 이상으로 유지되어 더위가 지속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열대야는 일반적으로 열대 지방에서 발생하며, 더운 날씨가 지속되거나 열파가 발생할 때 특히 빈번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사이에 한국의 여름에도 일주일이상의 열대야가 이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열대야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기후 변화로 인한 지구 온난화로 전체적으로 기온이 상승하면서 열대야 현상이 빈번해지고 있습니다. 도시 지역은 콘크리트와 아스팔트가 많아 낮 동안 흡수한 열을 밤에 방출합니다. 이로 인해 도시 내 온도가 높게 유지됩니다. 또한 높은 습도는 체온 조절을 어렵게 만듭니다. 습도가 높으면 땀이 증발하지 않아 체온이 떨어지지 않고, 이는 열대야를 더 견디기 어렵게 만듭니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여름철에 발생하며, 특히 도심 지역에서 더 두드러집니다. 보통 사람이 잠들기 가장 적합한 온도는 18~23℃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열대야일 때는 이보다 온도가 높아져 잠들기가 힘이 듭니다. 문제는 열대야로 수면이 부족하게 되면 몸에 무리가 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수면 부족은 만성적인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열대야 불면증으로 활동 시간에 쌓인 피로가 밤에 풀리지 않고 오히려 더 쌓여 스트레스가 늘어나고, 기억력이나 집중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신경도 예민해지기 쉽고, 소화불량이나 혈액순환 장애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열대야 극복 방법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사용해 실내 온도를 낮추는 것이 가장 직접적인 방법입니다. 하지만 밤새 에어컨을 켜는 것은 오히려 숙면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에어컨을 켜고 잘 때는 설정 온도를 잠들기 좋은 온도보다 약 2~3℃ 높게 설정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에어컨의 위치보다 침대나 바닥의 온도가 더 낮기 때문입니다. 또 1~2시간 정도로 타이머를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밤새 에어컨이 작동되면 새벽녘에 체온이 떨어지면서 추위를 느끼게 되어 순간 잠에서 깰 수가 있습니다. 한 번 떨어진 체온은 잘 오르지 않기 때문에 다시 잠들기 힘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사용은 전력 소비와 비용 증가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밤 시간 동안 창문을 열어 자연 바람이 통하도록 하면 실내 온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특히, 통풍이 잘되는 구조로 집을 꾸미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자연 환기로 집안을 시원하게 만들고 수분이 많은 과일로 열을 식히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수박이나 참외는 수분이 많고 이뇨작용이 있어 숙면을 방해하기 때문에 잠들기 3시간 이내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잠자리에 들기 전 차가운 물로 샤워를 하거나 발을 차가운 물에 담그면 체온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자기 직전에 찬물로 샤워를 하면 오히려 몸이 더 긴장되고 체온이 상승해서 숙면을 방해합니다. 대신에 잠자기 2시간 전에 미지근한 물로 목욕을 하는 것이 숙면에 도움이 됩니다. 긴장을 풀어주고 피로를 해소해 주면서 체온을 1~2℃ 정도 높여주는데, 이후 자연스럽게 체온이 떨어지면서 잠들기가 수월해집니다. 통기성이 좋은 얇고 가벼운 옷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침구도 통풍이 잘되는 소재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잠을 잘 때 더워서 아이스팩이나 얼음을 사용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실제로 밤에 덥다고 아이스팩을 얼려 베개 대신 베고 자는 분들도 있습니다. 한방에서는 머리는 차고 발은 따뜻한 두한족열(頭寒足熱)상태가 가장 이상적인 건강 상태라고 봅니다. 요즘 현대인들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서 그 반대인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 머리에 열이 몰리면 두통, 고혈압, 눈 피로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하체에 냉기가 몰리 소화불량, 생리통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발이 따뜻하면 혈액순환이 잘 돼서 숙면에 도움이 됩니다. 반신욕이나 족욕을 하고 나면 잠이 잘 오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어두운 커튼을 사용해 낮 동안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막고, 밤에는 실내를 어둡게 유지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외에도, 지역 사회 차원에서 나무 심기와 같은 녹지 공간 확대, 건물의 차열 도색 등을 통해 도시의 열섬 현상을 완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