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당독소의 원인

    당독소는 단백질과 당이 결합하여 생기는 독소인데요. 음식을 높은 온도에서 조리하면 음식 속의 당과 단백질, 지방이 결합하여 생기기도 하고, 또 우리가 섭취한 당질이 몸속에서 체온에 의해 단백질이나 지질과 결합하여 생기는 물질입니다. 단백질은 근육, 혈관, 뇌, 피부, 머리카락, 뼈 등 인체의 모든 조직에 존재하기 때문에 전신에 당독소가 축적될 수 있다는 이야기인데요. 당독소는 한 번 생기면 분해가 되지 않고, 일단 체내에 축적되면 단백질이 신진대사에 따라서 교체될 때 같이 사라지는 것 외에는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당독소가 쌓이기 쉬운 곳이 우리 몸속의 콜라겐 섬유입니다. 콜라겐 섬유는 피부의 토대가 되고, 혈관을 구성하고, 관절과 연골을 만드는 조직인데요. 콜라겐 섬유에 당독소가 쌓이게 되면, 콜라겐 특유의 탄력을 잃고 딱딱해지게 됩니다. 혈관의 콜라겐 섬유에 당독소가 결합하면, 혈관이 탄력을 잃고 딱딱해지면서 노화되는 직접적인 이유이기도 합니다. 특히, 심장에서 온몸에 혈액을 보내는 동맥에 당독소가 쌓이게 되면, 동맥의 혈관 내벽이 딱딱해지게 됩니다. 게다가 혈관에 흐르는 나쁜 콜레스테롤이 당독소와 결합하여 산화하면, 우리 몸에서 가장 강력한 면역세포인 대식세포가 이 결합물을 잡아먹고, 거품세포로 변해서 혈관 벽에 달라붙게 됩니다. 이렇게 벽에 붙은 덩어리가 점점 커져서 혈관의 내벽을 좁히고, 혈전이 되어 혈관을 막히게 하는 동맥경화로 발전하게 되는 것이죠. 혈관건강이 좋지 않은 분들 중에서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서 고민인 분들이라면 주목해야 할 부분입니다. 나쁜 콜레스테롤이 혈관엔 쌓여 동맥경화를 일으킨다는 것이 대부분의 상식이지만, 단순히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다고 해서 동맥경화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당독소와 결합한 콜레스테롤이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당 독소가 일으키는 만성질환 4가지

    1. 골다공증 갱년기 이후의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골다공증이나 변형성 관절에도 당독소가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는데요. 뼈에도 콜라겐 섬유가 많기 때문입니다. 뼈는 뼈 무게의 절반을 차지하는 콜라겐 섬유를 토대로 해서 칼슘과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이 딱딱한 결정을 이루고 있는데요. 뼈의 콜라겐 섬유에 당독소가 쌓이게 되면, 미네랄을 붙잡고 있던 콜라겐의 강도와 탄력성이 떨어져서 쉽게 끊어지거나 터지게 됩니다. 뼈 무게의 반을 차지하는 콜라겐 섬유가 약해지면서 뼈도 불규칙하게 물러지고 딱딱해지면서 변형이 생기는 것입니다. 게다가 당독소는 뼈를 만드는 세포에도 달라붙어서 미네랄 성분이 달라붙지 못하게 방해를 하기 때문에 조골능력이 떨어지고, 서서히 뼈가 약해지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2. 백내장 전신의 단백질로 축적된 당독소는 신진대사에 따라 콜라겐 섬유가 교체될 때 같이 사라집니다. 그런데 우리 몸에는 평생 교체가 되지 않는 콜라겐도 있습니다. 이런 콜라겐에 당독소가 한 번 쌓이게 되면 그대로 노화가 진행됩니다. 안구의 수정체를 구성하는 ‘크리스탈린’이라는 단백질은 평생 한 번도 교체가 되지 않는 단백질입니다. 이 단백질에 당독소가 증가하면 수정체가 혼탁해지면서 백내장의 위험이 커집니다. 백내장 예방에 중요한 포인트는 당독소가 쌓이지 않게 관리를 해야 하는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3. 치매 치매는 대부분 알츠하이머병에 의해 생기게 되는데요. 알츠하이머병은 베타 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뇌의 신경세포 바깥쪽에서 쌓여 기억력을 포함한 인지기능이 점점 약해지는 질환입니다. 그런데 알츠하이머의 주범인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에서 당독소가 발견되었다는 사실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뇌세포에 전달되지 못한 당이 뇌혈관 속에 혈액 속의 단백질, 지방과 결합하여 당독소로 쌓이게 되고, 이 과정에서 염증과 산화가 발생하면서 베타 아밀로이드 반점이 생성되는 것입니다. 4. 암 당독소가 체내의 단백질에 축적되어 가듯이 세포의 복제과정에도 영향을 끼치는데요. 우리 몸속에는 매일 약 1조 개의 세포가 죽고, 새로운 세포가 생겨납니다. 새로운 세포는 DNA에 담긴 유전자 정보를 바탕으로 만들어지는데요. DNA에 당독소가 축적되면 세포를 복제하는 데 에러가 생기고, 이로 인해 암세포가 생성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당독소는 암세포가 전이되는 데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합니다.

    반응형